娇色导航

????

??? ??

Maria Korolov
Contributing writer

VM??-??? ???? ? ??? ???? ??? ???

??
2025.07.098?
???????? ?????

????? VM??? ??? ? ???? ??? ????? ???? ??? ??? ???. ? ???? ???? ?? ? ?? ??? ?????

blue and red boxing gloves face off against a black background
Credit: Gutzemberg / Shutterstock

브로드컴이 2023년 말 가상화 소프트웨어 선도 기업 VM웨어를 인수했을 당시, 일부 전문가들은 곧 큰 변화가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모든 기술 리더가 이에 귀 기울인 것은 아니었다.

변화는 예상보다 빠르게 시작됐다. 우선 VM웨어 직원에 대한 대규모 구조조정과 리셀러, 서비스 제공 파트너와의 계약 해지가 이어졌다. 이어 라이선스 정책이 바뀌었다. 영구 라이선스는 폐지되고 구독형 라이선스만 제공됐다. 소프트웨어는 더 이상 개별 제품이 아닌 번들 형태로만 판매됐다.

브로드컴은 구독형 라이선스를 이미 사용 중인 대기업 고객은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나머지 고객은 상황이 달랐다. 영구 라이선스를 보유한 고객은 지원, 업그레이드, 보안 패치 접근 권한을 곧 상실하게 됐다. 비영리 기관과 교육기관도 예외는 아니었다. 유럽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자 협회(CISPE)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가격이 800%에서 1,500%까지 인상됐다고 보고했다.

영향은 중소기업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AT&T는 자사 비용이 1,050%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각국에서 소송이 잇따랐다. 네덜란드에서는 인프라 및 수자원 관리부가 VM웨어 제품 지원을 요구하며 브로드컴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6월 브로드컴에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 만약 브로드컴이 지원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최대 2,900만 달러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AT&T 역시 지난해 8월 소송을 제기한 뒤 11월 비공개 조건으로 합의했다.

주목할 사례는 지멘스 소송이다. 이번에는 브로드컴이 먼저 지멘스를 상대로 무단 소프트웨어 사용 혐의로 소송을 제기한 점이 이례적이다. 다만 상황은 단순하지 않다. 지멘스는 소프트웨어 지원을 받지 못하면 소송하겠다고 경고하며 지원을 원하는 소프트웨어 목록을 브로드컴에 제출했지만, 그 목록에는 어떤 형태의 라이선스도 보유하지 않은 제품이 포함돼 있었다. 이에 VM웨어가 소송을 제기했고, 지멘스가 반소를 제기하며 현재는 관할권을 두고 법적 공방을 벌이고 있다. 지멘스는 독일에서, VM웨어는 미국에서 재판을 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사에서 무단 소프트웨어 사용이 발견되면 고객은 차액과 일부 벌금을 납부하는 수준에서 마무리된다. 벤더 역시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비용을 일정 수준 이하로 조정하려 한다. 하지만 브로드컴은 이러한 고객 고통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고객 이탈을 고려하지 않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어쩌면 이 고통이 전략의 핵심일 수 있다. 현재까지는 단기적으로 효과를 보고 있다.

브로드컴은 6월 인프라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전년 대비 25% 증가한 매출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2분기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150억 달러(약 20조 원)로, 이는 VM웨어 사업과 AI 반도체 솔루션이 견인했다.

이번 사태에서 기업이 얻어야 할 교훈은 세 가지다. 첫째, 라이선스 조건과 관할권을 꼼꼼히 검토해야 한다. 둘째, 실제 소프트웨어 사용 내역을 철저히 추적해야 한다. 셋째,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한 비상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플렉세라가 500명 이상의 IT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응답자의 45%는 100만 달러 이상, 23%는 500만 달러 이상 라이선스 감사 벌금을 낸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VM웨어는 라이선스 감사 활동이 가장 공격적인 벤더 중 여덟 번째였고, 전체 기업의 18%가 지난 3년간 감사를 받았다. 하지만, 전략적 중요성과 복잡한 라이선스 구조, 높은 비용 영향으로 인해, 기업의 소프트웨어 자산 관리 프로그램에서 VM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다음으로 중요한 벤더로 꼽혔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첫 번째 문제는 기업이 자사에서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특히 대기업에서는 부서별로 또는 개인 법인카드를 이용해 소프트웨어를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과정에서 ‘섀도우 IT’가 발생하기도 한다.

IT 및 경영 컨설팅 기업 블루리버인터내셔널(Blue River International)의 JP 바트라 대표는 “개발자가 가상머신을 직접 생성해 사용하는 경우, 기업은 그 사실조차 모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소프트웨어가 구매됐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계약서 사본을 확보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그러나 합법적인 라이선스를 보유하는 것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지멘스 소송의 관할권 분쟁이 보여주듯, 계약서의 세부 조항은 향후 큰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글로벌 사무소나 자회사를 보유한 기업일수록 더욱 그렇다. 바트라는 “기업이 새로운 제품을 도입하면 처음엔 일종의 허니문 기간이 있다”며 “많은 이들이 글로벌 운영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계약에 서명하는데, 나중에 현지 법과 충돌할 경우 어떤 법이 우선 적용될지는 복잡한 문제”라고 설명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조항은, 제품 내 모든 기능이 라이선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플렉세라(Flexera)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2%는 소프트웨어 사용 권한의 복잡성이 가장 큰 과제라고 답했으며, 이는 감사 대응에 들어가는 시간·비용 부담과 함께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라이선스 관리 전문 기업 라이선스포트리스(LicenseFortress)의 최고 설계 책임자이자 공동 설립자인 딘 볼턴은 “지멘스 소송에서도 이 문제가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그는 “지멘스는 특정 기능이 사용 가능하면, 그것이 자신들의 라이선스 키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했다”고 전했다.

볼턴은 “이러한 ‘함정’은 다른 소프트웨어 벤더도 고객에게 슬쩍 넘기려는 전형적인 수법”이라며 “기능이 회색으로 비활성화돼 있지 않더라도, 추가 라이선스를 구매하지 않으면 사용해선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이 분쟁에서 지멘스가 승소할 경우, 업계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그런 결과가 나올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설사 조달 부서가 라이선스 조건을 잘 이해하고 있어도, 그 정보가 조직 전체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볼턴은 “직원들은 각 기능이 허용되는지, 제한되는지를 세세하게 파악할 여유가 없다”며 “고객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 핑계가 될 수는 없지만, 벤더가 일부러 시스템을 복잡하게 만들어 두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고객의 실수를 유도해 추가 수익을 얻으려는 전략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기업은 단순히 소프트웨어 조건을 이해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해당 소프트웨어가 실제로 사내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정밀하게 추적해야 한다.

컨설팅 기업 하우스오브브릭스(House of Bricks)의 대표 나단 빅스는 “소프트웨어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라이선스 계약서와 비교해 지속적으로 준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조달 또는 계약관리 조직이 조건을 이해하고 있어도, 실제로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 인프라 및 운영 부서와 소통이 부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부분의 고객은 규정을 어기려는 의도가 없다. 빅스는 “비용을 내야 하는 상황이라면 내고 싶어 하는 것이 고객의 일반적인 태도”라며 “브로드컴을 속이려는 것이 아니라, 정직하게 운영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많은 기업이 브로드컴에 대해 분노하는 이유는, 계획하지 않았던 상황에 빠졌다는 느낌 때문이다. 그는 “고객은 자신이 원하지 않았던 함정에 빠진 느낌을 받고, 그로 인해 예상보다 훨씬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고 말했다.

플렉세라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자산 관리를 이제 막 시작한 기업의 37%는 감사를 통해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33%는 SaaS, 클라우드 사용량, 라이선스 수명주기를 함께 추적하며, 가장 성숙한 29%는 라이선스 최적화,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정리, 소프트웨어 취약점 관리까지 함께 수행하고 있다.

일부 벤더는 자사 제품 사용 현황을 추적할 수 있는 자체 도구를 제공하지만, 정확도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플렉세라 솔루션 자문 부문 수석 디렉터이자 VM웨어 고객인 빌 서드브룩은 “VM웨어는 기본적으로 자사 포털을 통해 라이선스 수량을 안내하지만, 이 포털의 정확도는 매우 낮다”며 “환경 내에서 반드시 교차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드브룩은 “정확한 기록 관리는 감사 대비뿐 아니라 예상치 못한 벌금, 비용 초과 리스크를 줄이는 데도 효과적”이라며 “하지만, 라이선스 정책이 급변해 가격이 인상되는 상황까지 방어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서드브룩은 또한 “브로드컴은 그저 ‘귀사의 라이선스는 서비스 수명이 끝났다’고 말하면 된다. ‘이제 지원이 중단됐고, 지원을 원한다면 새로운 라이선스를 다시 구매해야 한다’는 식이다”라고 표현했다.

서드브룩 수석 디렉터는 일부 기업이 VM웨어 설치에 대한 지원을 다른 파트너에게 요청했지만, 브로드컴은 즉시 해당 기업에 ‘중단 명령’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는 “브로드컴은 ‘지금부터는 우리에게서 직접 구매해야 하며, 그것도 훨씬 인상된 가격으로’라고 요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서드브룩에 따르면, 일부 플렉세라 고객은 VM웨어 가격이 2배 가까이 인상됐고, 이에 따라 뉴타닉스(Nutanix)나 오픈소스 대안 검토에 나선 사례도 있었다. 전환한 고객 중 다수는 뉴타닉스로 옮겼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플렉세라도 VM웨어를 벗어날 계획일까? 플렉세라 娇色导航코널 갤러거는 “우리도 고객과 마찬가지로 기술 스택과 비용을 최적화할 방법을 항상 모색하고 있다”며 “비즈니스 요구에 더 잘 부합하기 위해 도구와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비관리 소프트웨어 기업 엠버스(Emburse)의 CTO 켄 링달은 과거 VM웨어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VM웨어의 감사를 받은 기업에서도 일한 경험이 있다. 그는 “그 감사는 매우 일반적인 절차였지만, 다소 지나친 조사처럼 느껴질 수 있다”며 “라이선스 상으로는 VM웨어의 권리이며, 대기업 소프트웨어 환경에서는 매우 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업 내부에서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모르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고 말했다.

엠버스는 2023년 오라클(Oracle)의 자바(Java) 라이선스 정책 변경으로 큰 비용을 부담할 뻔한 상황에 직면했다. 오라클은 자바 라이선스를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 기준에서 ‘직원 수’ 기준으로 바꿨고, 여기서 직원은 정규직뿐 아니라 계약직, 프리랜서, 컨설턴트까지 포함됐다. 링달은 “이 기준을 따르면 자바 사용자로 900명을 등록해야 했고, 이는 엄청난 비용이 될 뻔했다”고 밝혔다.

라이선스 최적화 전문기업 레드레스컴플라이언스(Redress Compliance)에 따르면, 이 새로운 라이선스 조건으로 인해 기업의 비용은 기존보다 2~10배 이상 증가했으며, 일부 기업은 수억 원대 예산 초과를 보고했다. 이 여파로 오라클의 자바 시장 점유율은 2020년 75%에서 2024년 21%로 급감했다는 뉴렐릭(New Relic)의 보고서도 있다.

다행히 엠버스는 오라클 상용 라이선스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오픈소스 버전을 이용하고 있었다. 링달은 “오라클이 다양한 기업을 인수하면서 기존 자산을 수익화하려 한다는 점에서 이런 변화는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많은 기업은 갑작스러운 변화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특히 대기업은 환경 전환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링달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예기치 못한 라이선스 변화에 대한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주요 도구에 대해서는 서드파티가 제공하는 기술 지원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대안으로 SaaS 기반 소프트웨어도 있다. 고객과 벤더 모두 사용량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어 라이선스 관리가 좀 더 수월하다는 이유에서다.

VM웨어를 사용 중인 기업에 대해서는, 현재 환경을 가능한 한 최적화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접근이라고 조언했다. 링달은 “떠나기로 결정한다면 대안은 있다”며 “그중 가장 큰 수혜자는 뉴타닉스로, 이들은 VM웨어 고객을 겨냥해 전략적으로 움직였고 사업을 크게 성장시켰다”고 말했다.

상용 대안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하이퍼-V(Hyper-V), 오픈소스 대안으로는 프록스목스(Proxmox Virtual Environment), 레드햇 오픈시프트 가상화(Red Hat OpenShift Virtualization), 리눅스 커널 기반 가상머신(KVM) 등이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 역시 유효한 선택지다.

이러한 리스크로 인해, 일부 기업은 핵심 시스템에서 단일 벤더 의존을 피하고자 한다. 링달은 “일부 기업은 이중 벤더 전략을 채택하거나 동일 분야에 복수 벤더를 요구한다”며 “결국 이는 기업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VM웨어에서 다른 플랫폼으로의 전환은 18~48개월이 걸릴 수 있으며, 가상머신당 전환 비용은 300~3,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 이 기간에도 브로드컴에 구독료를 계속 납부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대안이 VM웨어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거나, 기업 내부에 해당 플랫폼을 운영할 인력이 부족할 수도 있다. 링달은 “플랫폼을 전환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Maria Korolov
Contributing writer

Maria Korolov is an award-winning technology journalist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covering enterprise technology, mostly for Foundry publications -- CIO, CSO, Network World, Computerworld, PCWorld, and others. She is a speaker, a and magazine editor, and the host of a . She ran a business news bureau in Asia for five years and reported for the Chicago Tribune, Reuters, UPI, the Associated Press and The Hollywood Reporter. In the 1990s, she was a war correspondent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reported from a dozen war zones, including Chechnya and Afghanistan.

Maria won 2025 AZBEE awards for her coverage of Broadcom VMware and Quantum Computing.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