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00? ?? ??? ????? 30? ???. ??? ?? ?? ??? ???? ?? ??? AI ?? ‘???(DeepFleet)’? ?? ????. Credit: Amazon 아마존의 100만 번째 로봇은 일본에 위치한 풀필먼트 센터에 투입됐으며, 현재 아마존은 300개 이상의 물류 거점에서 로봇을 운영 중이다. 2012년부터 물류 로봇을 도입해온 아마존은 현재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운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최대 1,250파운드(약 566kg)의 화물을 옮기는 ‘헤라클레스(Hercules)’, 정밀한 패키지 처리를 위한 ‘페가수스(Pegasus)’, 자율 주행 기능을 갖춘 ‘프로테우스(Proteus)’ 등이 있다. 이들 로봇은 반복적이고 물리적인 작업을 대체해 직원들의 부담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일부 물류센터에서는 기술 관련 직무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에 문을 연 차세대 물류센터에서는 로봇 시스템 도입 이후 유지보수 및 엔지니어링 인력 수요가 약 30% 증가했다고 아마존은 . 이번에 발표한 딥플릿은 아마존이 자체 개발한 AI 기반 물류 최적화 모델로, ‘플릿(함대)’이라는 이름처럼 물류 네트워크 전반의 로봇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데 중점을 둔 기술이다. 다수의 로봇 경로를 효율적으로 제어해 혼잡을 줄이고, 이동 시간을 10% 단축해 고객에게 더 빠르고 저렴한 배송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아마존은 이를 통해 배송 속도 향상과 운영 비용 절감을 동시에 기대하고 있다. 딥플릿은 아마존의 재고 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AWS의 머신러닝 플랫폼 ‘세이지메이커(SageMaker)’를 활용해 구축됐다. 로봇 간 협업을 개선하고, 고객 인근에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성능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도 강조됐다. 아마존은 딥플릿 도입을 통해 에너지 소비 절감, 고객 응대 시간 단축, 물류 처리 효율 개선 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로봇 간 협업과 전체 물류 네트워크의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아마존은 로봇을 미국 내에서 직접 제조하고 있으며, 개발자, 생산자, 현장 직원 간의 긴밀한 피드백 순환 체계를 통해 시스템 개선과 품질 향상을 동시에 도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jihyun.lee@foundryco.com ???? ???? ??? ??? IT ??? ???? ??? ????! ??? ??? ??? ?????. ????